프로젝트 구성
필자가 00회사에 들어온지도 벌써 1년이 다되어 간다. 1년동안 많은 일이 있었고, 프로젝트도 2번째를 수행중이다. 필자는 회사에 입사할 때부터 금융 업무의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가 전혀 없었다. 그냥 아무 생각 없이 화면만 만드는 퍼블리셔였다. 그러나 최근 두번째 프로젝트를 시작할때 쯤에는 처음 입사했을 때 보다 많은것을 배웠던 것 같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팀이 꾸려지고 다양한 전문가들이 인력 으로 구성이 된다. 디자이너, 기획, 퍼블리셔, 화면개발, 서버관리 등등.. 이중 한명만 빠져도 프로젝트에는 구멍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 중에서 지금 필자는 퍼블리셔의 역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화면을 이해하지 못하는 자
프로젝트 수행중 퍼블리셔는 기획자가 기획하고 디자이너가 시각화 시킨 디자인을 화면에 반영하고 엔드디벨로퍼가 기능을 붙일 수 있게 교두보 역할을 담당한다. 역할의 특성상 디자이너와 기획자, 개발자와의 소통이 매우 중요한 포지션이다. 말이 좋아 소통이지 잘못하면 중간에서 상당한 고충을 인내해야 할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그와 관련하여 실제 필자가 프로젝트 수행중 여러가지 에피소드가 있었는데 그중 몇가지만 이야기해본다. 필자가 개발자에게 가서 화면에 대한 구성과 기능 추가 에 대해 이야기를 할대 개발자가 말했다. " 이게 지금 급한 일인가요? 기능이 먼저 붙어야지 중요하지 도 않은 이일을 지금 해야 하는건가요?" 물론 기능적인 면도 중요하지만 화면에 대한 UI의 구성과 시각적 보여짐에 대한 이해도가 전혀 없는 이 개발자에게 필자는 열심히 화면의 중요성을 설명 했다. 사소 한거 하나라도 놓지지 못하고 인터렉티브를 생각하고 어떻게 하면 좀더 부드럽게 나오게 할수 없을까 어떻게 하면 좀더 접근성 있게 화면을 구성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퍼블리셔에게 이런 화면에 대한 이해도가 없는 개발자는 그냥 적이다. 교화 시켜야 할 적.
팀 프로젝트에서 퍼빌리셔의 역할
이런 화면을 중시하는 퍼블리셔는 개발이 끝나 갈 수록 업무를 프로젝트 초 중반에 다 끝내야 하는 특성상 스케쥴에 여유가 있다. 그래서 필자도 프로젝트 기간이 중반이 넘어가면서 테스트 역할을 수행했다. 그렇게 모든 화면을 다 구성하고 퍼블리싱 가이드를 구축 시켜놓고 테스트 역할을 하는 중 필자는 중요한 것을 알게 되겠다. 퍼블리셔가 갖춰야할 소양이 그것이다. html5, css3, jquery.. 등등의 기술적인 것과 uxd, 기획 등 마인드와 관련된 것도 있지만 여기에 하나 빠진것. "플로우에 대한 이해"이다. 화면에 대한 이해가 없는데 어떻게 화면을 만들까. 앞서 이야기 했지만 필자는 은행업무에 대해 잘 모르니 첨엔 그냥 pm이 그리라는데로 그리고 그저 빠른 시간안에 정확하게 1px 도 어긋나지 않은 완벽한 화면의 구성만 추구했을 뿐 플로우에 대한 이해도는 없었다. 그러나 테스트 중 플로우에 대한 이해도가 올라가니 개발로직과 관련하여 개발자와 더 많은 이야기를 하게 되고 좀더 넓은 시각으로 광범위한 테스트가 가능하게 되었다.
퍼블리셔는 귀족이다.
필자가 내린 결론은 그렇다. 진정한 퍼블리셔는 지식과 앏에 대한 끊엄는 갈망을 통하여 기술적인것 이상의 기술을 추구하며, 플로우에 대한 이해도가 더해졌을때 그 어떤 다른 직업보다도 우월한 IT의 귀족 클래스가 될것이다. 끝으로 앞으로 퍼블리셔들이 헤쳐나가고 이뤄나갈 새로운 세상을 위하여 자화자찬 하며 이 글을 끝맺는다.